가치 있는 정보 준비 중
3초만 투자해 보세요!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hree seconds!
본문 바로가기
IT/OS

윈도우서버 LDAP 서버역할 OU

by 콰나 | Quanna 2024. 1. 31.

<Directory Service>

*object(객체): Account(계정), group(그룹), organization unit(OU, 조직구성 단위)

- directory object 분류하기 위한 목적, 분류- 검색의 편의성

- MS(마이크로소프트): Active Directory 기능 (LDAP 프로토콜 사용)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 DAP(directory access protocol) 향상된 프로토콜

- Lightweight DAP 별칭사용

- x.500 표준사용 (ex. x.509 : 인증서 표준)

 

<서버 역할> (Server Roles)

- 서버의 주요서비스 기능

- Active Directory, DNS, FTP서버, 프린트서버, 웹서버(IIS) 등 대표적

 

- AD DS(액티브 DNS서비스)를 기본으로 추가적인 기능 사용(FS, RMS, CS )

 

<기능 (Feature)>

- 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하나의 프로그램

 

<서버 코어> (Sever Core)

- 2008부터 지원되는 기능

- win서버버전: NT3.xxx -> NT4.xxx -> 2000 -> 2003 -> 2008 -> 2012

- 최소한의 서비스만 지원 (서비스: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를 관리하는 framework)

- 그래픽 인터페이스 없음

- 보안 향상됨

*window 서비스확인: services.msc

<power shell>

- 2008/vista부터 나온 shell기능, CLI 윈도우의 설정 조작가능

 

 

 

<액티브 디렉토리> (Active Directory)

- 분류와 검색을 하기 위한 서비스

- 네트워크(object) 관련된 정보를 갖는 중앙저장소

- 도메인, 트리, 포레스트 구조로 구성

 

1)도메인

 

<OU>(organization unit)

- 도메인 안에 구성, 디렉토리 서비스 핵심

- container: 계정들을 담는 용기, 컴퓨터와 사용자 계정을 분류하기 위한 용도

- object 논리적 그룹: 컴퓨터계정(computer account), user계정

<포레스트>

- 각각의 도메인을 묶은 구조

- 도메인 트리로 계층적 구성

- 포레스트는 최소1이상은 도메인 존재

- global catalog 기능: 전체의 계정정보를 갖는 ,

*최상위 도메인의 서버는 포레스트의 모든 서버의 계정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Active directory 도메인 걔념을 사용하므로 DNS서비스 같이 사용

LDAP 오브젝트를 분류 / 검색을 하기 위해 사용하느 프로토콜
DNS 컴퓨터를 찾기 위한 프로토콜
kerberos 프로포콜 사용 : 인증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실습 - Active directory + DNS 환경 구축>

- Active Directory + DNS : 도메인 환경

dcpromo : 도메인 컨트롤러 프로모션, 도메인컨트롤러 승격하기 위한 명령어
- 작업그룹환경에서 도메인컨트롤러로 승격시킴(도메인환경에서 서버컴퓨터로 승격)

 

 

- 2000부터 Active Directory지원 (NT4 호환X)

- 도메인 이름: abc.com

- 포레스트 기능 수준: 버전의 상하위 호환 (버전을 맞춰야한다)

- object / log / sysvol 저장폴더지정 정보 (NT약자: new tecnalogy)

- 액티브디렉토리 사용자 계정 컴퓨터 확인

 

 

- ad active directory / DNS 확인가능

 

<user 생성>

- mem, core, win7 부여해줄 사용자 생성

 

- 2000이전 버전의 도메인이름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domain controller
로컬계정 => 사용안함
- 도메인계정 => 도메인\계정이름 or 계정이름@도메인
- 로그인시 kerberos 프로토콜로 인증을 받게 된다.
domain member
로컬계정 => 컴퓨터이름\계정이름
- 도메인계정 => 도메인\계정이름 or 계정이름@도메인






 

 

<실습 - domain member 설정하기>

- ad dns 주소는 자기 자신

 

 

<mem컴퓨터>

- dns ad의 주소로 지정

- 설정에 해당도메인으로 컴퓨터이름을 추가

- 과정을 도메인에 가입한다고 표현한다.

 

<win7 설정>

- 데스크탑 경우 마법사 설정 지원

<core 설정>

- DNS ad ip 설정

 

<명령어로 해당유저 관리자로 설정>

net localgroup Administrators ABC\user2 /add

net localgroup Administrators : administrators그룹에 속한 사용자확인

 

<MMC 관리 도구>

- mmc (마이크로소프트 매니지먼트 컨트롤))

- 필요한 항목에 대한 관리 설정할 있는 도구

- 다른 컴퓨터 또한 관리 가능

 

<시스템의 관리자도구 설명 >

- 서버 관리자(server manager) : 서버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옵션 설정가능

- 컴퓨터 관리(computer management) : compmgmt.msc 명령어로도 확인가능

- 장치관리자 : 컴퓨터 관리 – 장치관리자에 위치 / devmgmt.msc 명령어로도 확인가능

 

<원격관리 설정방법>

1) ABC\administrator 로그인 MMC도구 사용

2) ABC\administrator 로그인 원격 데스크탑 사용

3) RSAT(remote server administrator tools) 사용

(1) domain member서버일 경우
: 기능추가 - 원격서버관리도구 – 역할관리 도구 - ad ds ad LDS 도구 – 설치 – ad의 해당유저로 접속(user2)
 
(2) desktop 경우
: RSAT 전용 프로그램 설치 windows 기능에서 AD DS도구, AD LDS 스냅인, active directory모듈 사용(활성화)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서버 SID RID ACL  (1) 2024.01.31
윈도우서버 오브젝트 도메인 dsadd  (1) 2024.01.31
윈도우서버 구축 공유폴더 그룹정책  (1) 2024.01.31
Shell 정규화 awk  (1) 2024.01.31
가상화 인터페이스 Storage 구성  (0)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