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계층 프로토콜>
TCP, UDP – 프로세트간의 통신, 포트번호 정의
<포트번호>
System port (Well-known port) : 0~1023 (잘 알려진 포트번호)
User port (Registered port) : 1024~49151 (특정회사나 잘 알려지지 않은 서비스의 포트번호)
Private port (Dynamic port) : 49152~65535 (사용자가 사용하는 유동적 포트번호)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 - IP주소, 최상위 도메인, 포트번호 등을 관리 http://www.iana.org/assignments/service-names-port-numbers/service-names-port-numbers.xhtml |
<포트번호 종류>
FTP (20/21) : 파일 송수신 (연결지향적) SSH (22) : 암호화 통신 TELNET (23) : 평문 통신 SMTP (25) : 메일 | DNS (53) : 도메인서비스 TFTP (69) : 파일 송수신 (비연결지향적) HTTP (80) : 웹서비스 NTP (123) : network time |
<연결지향 / 비연결지향>
연결 지향형(Connection Oriented)
- 통신하기 전에 통신을 시작해도 되는지, 통신이 완료된 후 전송한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송되었는지 확인, 물어본다. (TCP)
- 데이터 송수신시 보다 안전하다.
- 데이터의 손상이 발생했을 때 문제점을 파악하고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 데이터를 송수신 동안 질의응답을 하기 때문에 부하가 심하다.
비연결 지향형(Connectionless Oriented)
- 연결 지향형과는 달리 물어보는 게 없고 무작정 데이터를 던져주기만 한다. (UDP)
- TCP에 비해서 빠르다
- 데이터 손실률이 높다
본 컨텐츠는 무단 도용,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1) | 2024.01.16 |
---|---|
VPN (0) | 2024.01.16 |
TCP 3way handshake (0) | 2017.11.24 |
TCP/UDP 헤더 분석 (0) | 2017.11.23 |
icmp에 대하여 (0) | 2017.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