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정보 준비 중
3초만 투자해 보세요!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hree seconds!
본문 바로가기
IT/NETWORK

Ethernet 해더

by 콰나 | Quanna 2017. 11. 22.

<Ethernet 헤더>

  • 2계층 프로토콜은 IEEE 802.3 header , Ethernet header 나뉨


Preamble (7 Bytes)

  패킷(프레임) 동기등을 위해 프레임의 헤더 앞에 붙이는 영역

 

SFD(Start of Frame Delimiter) (1 Byte)

 프레임의 시작부근에서 Preamble 바로 뒤에 붙어지는 10101011(0xAB) 구성된 1byte짜리 비트열로 SFD비트열 부터는 바이트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프레임 동기용 비트열

 

 

-2계층 frame 구조-

Ethernet header

Data

FCS(Frame Check Sequence) or CRC(Cyclic Redundancy Check)

 

FCS(Frame Check Sequence) (4 Bytes)

프레임에 문제가 있는지 판별에 사용, CRC순환중복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에러검출 방법중의 하나로 송신측의 데이터로 부터 다항식에 의해 추출된 결과를 여분의 오류검사필드(FCS:Frame Check Sequence) 덧붙여 보내면 수신측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결과와의 일치성으로 오류검사를 하는 기술이다

 

< Ethernet 헤더구조 >

목적지 맥 주소

 

 

 

 

 

출발지 맥 주소

 

 

상위 프로토콜 타입 (ex. Ip = 0x0800 / ARP = 0x0806 )

 

 

 

 

 

전체 : Ethernet 14byte

목적지 : 6byte     /     출발지 : 6byte     /     Ethernet 타입 : 2byte

<Wireshark 캡쳐>

  • ping테스트(ICMP) frame 패킷 캡쳐 



 


DST: 00:0c:29:7f:3e:52 (ping 받을 컴퓨터 MAC 주소)

SRC: 00:0c:29:b8:51:39 (ping 보낸 컴퓨터 MAC 주소)

Protocol type : 08 00 (IP 프로토콜) / 08 06 (ARP 프로토콜)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에 대하여  (0) 2017.11.23
ARP / RARP  (0) 2017.11.22
vmware 네트워크 가상화  (0) 2017.11.22
mac address  (0) 2017.11.22
supernetting  (0) 2017.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