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
1)물리 계층
- 케이블 종류나 속도, 케넥터 등과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구조를 결정
2)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끼리의 통신을 담당
-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AC주소를 정의
- NIC (network interface card) : 흔히 랜카드라고 불림
- CRC 기반의 오류제어 방식
3)네트워크 계층
- 논리적인 주소체계와 라우팅을 지원
- IP주소 정의
- 데이터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갈 수 있도록 경로지정
4)전송계층
- 프로세스 간의 통신
- 통신 중에 있는 작업들 간에 원하는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기능
- 포트번호 정의
- 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제어 방식
5)세션계층
- 논리적인 연결상태 담당
6)표현계층
- 데이터의 포맷을 결정(동영상파일, 그림파일, 문서파일)
7)응용계층
-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담당
<Encapsulation & De-encapsulation>
7~5계층
4계층
3계층
2계층
1계층 0110101010101010101010110101010101010101
OSI 7 계층 | TCP/IP 계층 | 주소체계 | 장비 | Protocol | 통신 단위 | 역할 |
Application | Application | - | - |
| Dat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
Presentation |
| - | - |
| Data | 데이터 포맷 정의 |
Session |
| - | - |
| Data | 논리적인 연결상태 정의 |
Transport | Host to Host (transport) | 포트번호 | L4 스위치 | TCP, UDP | Segment | 프로세스 간의 통신정의 |
Network | Internet | IP 주소 | 라우터 | IP, ICMP, ARP | Packet | IP주소로 논리적 연결, 라우팅 |
Data-Link | Network | MAC주소 | 스위치, 브릿지 | Ethernet | Frame | MAC주소로 물리적 연결 |
Physical |
| - | 케이블, 리피터, 허브 |
| Bits | 물리적 인터페이스, 전기신호 전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