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RPC(Remote Procedure Call)
- 원격지에 존재하는 프로그램 루틴을 호출하는 방법
- 분산 시스템 구축에 기반이 되는 방식
-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스템 협력 작업의 가장 기본적 원리
<RPC 서비스>
- RPC 방법을 응용하여 구성되는 원격 서비스 (ex. rlogin, rcp, rsh, rexec)
spray : RPC방식의 서비스 grep rpcbind /etc/services : rpc바인딩 rpcinfo | grep spray : 스프레이 서비스 활성화 확인 inetadm | grep spray : 스프레이 서비스 활성화 확인 inetadm –e spray : 스프레이 서비스 활성화 |


<가상 메모리>
- RAM+SWAP (스왑 슬라이스, 스왑파일)
- Swap공간은 실제메모리 공간보다는 작아야함 (굳이 클 필요는 없다.)
<Swapping / Paging>
- Swap in : Swap 공간에서 메모리로 이동
- Swap out : 메모리에서 Swap 공간으로 이동
<스왑 공간 할당 방법>
- 스왑 슬라이스 : 일반적으로 1번 슬라이스에 구성
- 스왑 파일 : 디스크에 사용 가능한 슬라이스가 없는 경우 사용
<현재 스왑 공간 할당내역을 보는 명령어>
1) 스왑 슬라이스 추가

swap –s | swap 공간확인 |
swap -a /dev/dsk/c1t1d0s0 | swap 공간 추가 |
swap -d /dev/dsk/c1t1d0s0 | swap 공간 제거 |
swap –l | 현재 사용하는 swap공간 확인 |
*/etc/vfstab : swap에 대한 설정적용
2) 스왑 파일 추가
1. 저장할 swap파일을 생성 : mkfile 100m /swapdir/swap_file
2. 파일에 swap 적용 : swap –a /swapdir/swap_file
3. swap 확인 : swap -s
<Crash Dump & Core File>
1)크래쉬 덤프 : 운영체제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메모리에 있던 커널 부분을 파일로 남기는 것
dumpadm | 현재 크래쉬 덤프 설정값 조회 |
dumpadm –d | 덤프장치 변경 |
sync | 저널링 파일을 디스크에 저장 |
savecore –L |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어도 지금 바로 메모리에는 커널 부분을 파일로 남기는 명령어 |
*저널링 파일: 디스크에 저장하지 못하고 메모리에 남아 있는 파일
<크래쉬 덤프 설정파일> (/etc/dumpadm.conf)

DUMPADM_DEVICE | 덤프 장치명 |
DUMPADM_SAVDIR | 덤프 저장 디렉토리 |
DUMPADM_CONTENT | 덤프할 대상 |
DUMPADM_ENABLE | 세이브코어의 파일 저장여부 |
(ex) dumpadm -d /dev/dsk/c1t1d0s4
savecore –L
2)코어 파일 : 메모리에 잇던 프로세스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메모리에 있던 해당 프로세스를 파일로 남기는 것
coreadm | 현재 코어 덤프 설정 값 확인 |
–g /dump/core/core.%f.%p –e global | 글로벌 기능 경로 및 활성화 |
–i /dump/core/core.%f.%p | init 경로 설정 |
coreadm –e log | loggin 기능 사용 |
/etc/coreadm.conf | 코어덤프 설정파일 |
<기타 사항>
%f | 실행파일이름 |
%p | PID 이름 |
kill -8 [PID] | core파일로 덤프하면서 종료시킴 |
*global core파일 : 전체설정 저장
*init core 파일 : 기본설정만 저장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특수권한 RBAC (2) | 2024.01.30 |
---|---|
UNIX NFS (1) | 2024.01.30 |
UNIX /root복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0) | 2024.01.16 |
UNIX 패치 작업스케줄링 백업 (0) | 2024.01.16 |
UNIX FSCK 장애블록 복구 부팅과정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