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구축>
1) 설치파일 경로
- C:\WIM2VHD (압축파일)

VHD: 파일을 실제 디스크처럼 사용가능
2)가상드라이브 생성
-경로: diskmgmt (디스크장치관리자) - 동작메뉴- d:\hyper-v.vhd, 200GB, 동적확장

- 가상디스크 생성 후 생성된 디스크 속성에서 초기화 / 새볼륨 추가 – K(임의지정)
- 가상디스크에 이미지파일을 복사
- sources/install.wim파일을 복사해 (windows파일/windows파일확장)

- bcdboot.exe k:windows /l ko-kr : 부트로더에 K볼륨을 추가

- msconfig : 부트로더 정보확인

<hyperV 설치 – 2008 Server환경>
경로: 서버관리자 - 역할 추가 - hyperV 설치

<가상컴퓨터 추가>

- 이름 win2k8-01
- 램 1024
- 용량 20기가
<시스템 가상화> (System virtualization)
- 목적: 하나의 컴퓨터의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가동하여 서비스하기 위함
- software patition = hypervisor
장점 : 고가용성(언제든 사용하는지)
단점: 하드웨어 의존성이 강하다 ==(보완)=> 클러스터
*클러스터: 기존의 가상컴퓨터를 옮겨서 사용가능
<type2 / type1>
- 가상기술의 타입을 두 분류로 나뉨
1)type2
- 테스트용도
- 하드웨어 성능이 떨어진다

VMware: wrokstation / Oracle: virtualbox |
2)type1
- 실제 서비스에 사용 (hypervisor)
- 실제 밑단에 하드웨어가 있어야 구축가능

-회사별 제품-
MS | Hyper-V |
VMware | ESX |
citrix | Xen Server |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 VMM 설치 (0) | 2024.01.31 |
---|---|
기본 OS 구조 (1) | 2024.01.31 |
UNIX jumpstart (1) | 2024.01.31 |
UNIX dns (1) | 2024.01.31 |
UNIX zone dns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