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OS 구조>


- 일반적인 OS구조는 Ring0~3까지 계층별로 나뉘며, 각 계층별을 거쳐 동작이 된다.
<Type1의 구조>

<DEP>(Data execution prevention)
- AMD (NX no execute it) 기능
- Intel (XD execute disable) 기능
*Hyper-V => BISO에서 DEP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Itanium(IA-64) CPU HP유닉스 운영체제를 위한 CPU
=> Hyper-V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가상컴퓨터 구성 고려사항>
VMWare | Hyper-V | |
VM구성파일 | .vmx | .xml |
VM디스크파일 | .vmdk | .vhd |
가상컴퓨터의 고려사항
- 하드드라이브의 공간
- 보안 (VM디스크파일에 대한 접근제어)
- 디스크의 성능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가상컴퓨터의 성능이 달라짐)
가상하드디스크 경로 C:\Users\Public\Public Documents\Hyper-V\virtual hard disks 가상컴퓨터 구성파일 경로 C:\ProgramData\Microsoft\Windows\Hyper-V |
<Hyper-V의 네트워크 구성종류>
1)외부

2)내부

3)개인용

<disk controller>
병렬방식 – IDE/SCSI (90년대)
직렬방식 – SATA/SAS (현재)
IDE → SATA (데스크탑용)
SCSI → SAS (서버용)
1) IDE 특징
- controller 최대 2개 / 디스크 최대 4개 연결
- 지원방식: pass-through, fixed-disk, dynamic
- 부트파티션 : 운영체제가 저장된 디스크, IDE는 부팅디스크 사용
2) SCSI 특징
- controller 최대 4개 / 디스크 최대 256 연결
- 지원방식: pass-through, fixed-disk, dynamic
<동적디스크 / 고정디스크>(Dynamically Expanding Disks vs. Fixed Disks)
1)동적 디스크
장점 : 저장공간 효율적 사용
단점 : 공간확보가 미리 안됨, 분할 일어남
용도 : 테스트나 개발용으로 사용
*seek 타임: 디스크의 헤드암이 찾는 시간
2)고정 디스크
장점 : 성능이 좋다, 공간이 미리 할당됨
단점 : 이동성이 낮아진다. (10mb파일 경우 20G를 다 할당/이동해야 한다.)
용도 : 실제 서비스 용도
disk provising
3)차등디스크 (differencing Disks)
-마스터 디스크(베이스 이미지): 운영체제 저장
-차등 디스크: 변경된 데이터 저장
장점: 분할하여 사용가능, 베이스 이미지를 별도로 기준잡아 사용할 수 있다.
단점: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마스터 디스크가 빨라야한다)
4) pass-through disks
- 가상머신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디스크
장점: 성능이 다른 디스크보다 가장 좋다
단점: 가상컴퓨터의 스냅샷 기능 못함, 이동성이 아주 낮다
<디스크 추가>
- 새로만들기에 하드디스크로 추가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 디스크는 고정/동적/차이점보관용(차등디스크)로 나뉨

- 각 디스크확장자는 .vhd 생성된다.

<디스크 검사>
- 검사시 디스크의 상세정보를 보여준다

- 해당 디스크검사에 대한 상세내용

<디스크 편집>
1) 고정 디스크 경우
-디스크의 종류를 바꾸는 변환과 용량을 늘리는 확장이 있다.

2) 동적디스크 경우
*압축: 늘어나서 비어진 공간을 다시 줄이기 위한 압축 (실제 용량크기로 압축)

<가상컴퓨터 설정>
-하드웨어-
1)BIOS

2)메모리
*메모리 가중치 – 여러 대의 메모리를 분배해야하는 경우 할당량 조절

ex) 컴퓨터1: 10 / 컴퓨터2: 5 => 컴퓨터1: 2/3, 컴퓨터2: 1/3
3)프로세스

수: 코어의 수 리소스 컨트롤: cpu의 리소스 백분율 |
ex)백분률이 50일경우 총백분율 6 (50/코어8개)
4)com
- 테입장치의 백업을 위한 시리얼포트

-관리-

1)자동시작작업: 서비스에 따른 자동시작옵션
2)자동중지작업: 중지에 따른 자동중지작업
3)통합서비스(Integration Settings) : hyper-v가 제공하는 가상드라이버
4)스냅숏
- 해당파일을 검사하여 01.vhd의 자식파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상컴퓨터 종료옵션>
- 끄기: 전원케이블 강제로 제거
- 종료: 운영체제의 정상적인 종료
*ACPI: 컴퓨터의 전원 누를시 자동으로 운영체제를 정상적인 종료시켜주는 장치

- 일시중지: 하드웨어 등의 자원정보를 붙잡고 중지시킴
- 저장: 메모리 등의 설정정보를 디스크에 저장한 후 중지시킴
<실습 – 서버 구성>
1)구성
-Hyper-V 서버-
이름: HV190 도메인: 도메인 멤버 |
-AD컴퓨터-
이름:AD191 도메인: 도메인 컨트롤러 dcpromo : AD DS승격 자동시작, 항상 0초 메모리: 동적, 1024~2048 |
-VMM컴퓨터-
이름:VMM192 도메인: 도메인 컨트롤러 자동시작, 항상 30초 메모리: 동적, 1024~2048 |
-도메인 사용자 (AD 사용자 및 컴퓨터)-
hvadmin → HV190의 관리자 (로컬그룹 Administrators) vmmadmin → VM192의 관리자 (로컬그룹 Administrators) |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 VMM Library (0) | 2024.01.31 |
---|---|
가상화 VMM 설치 (0) | 2024.01.31 |
가상화 구축 (0) | 2024.01.31 |
UNIX jumpstart (1) | 2024.01.31 |
UNIX dns (1)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