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정보 준비 중
3초만 투자해 보세요!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hree seconds!
본문 바로가기
IT/OS

가상화 VMM Library

by 콰나 | Quanna 2024. 1. 31.

<VMM Library 서버>

- 공유파일 유형

- 가상하드디스크(vhd)
- ISO파일
- Windows power shell scripts
- Answer files (inf, xml)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을 파일로 지정하여 설치시 운영체제가 파일을 읽어 설치하게금 하는 응답파일)
- 가상컴퓨터 템블릿
- 하드웨어 프로필(하드웨어 구성정보를 미리 지정)

 

- 라이브러리 폴더는 계층별로 보통 나누며,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이 공유됨.

 

 <하드웨어 프로필>

- 하드웨어 구성정보를 저장한 파일

<게스트 OS 프로필>

- 운영체제 기본설정 정보를 저장한 파일

- 라이브러리탭의 프로필을 통해 프로필파일을 확인할 있다.

<템블릿을 이용한 가상컴퓨터 추가>

- 가상컴퓨터를 템블릿을 원본으로 사용

하드웨어 프로필 파일의 정보를 적용 게스트 OS프로필 파일의 정보를 적용


 

- 적용된 템블릿과 프로필정보로 가상컴퓨터 생성

- 정품키 인증이 필요하여 94%에서 멈추게 된다.

- 로컬(회사 LAN네트워크)환경의 경우는 KMS키로 인증을 받을 있다.

<Windows KMS>

- LAN 로컬 네트워크의 인증을 위한 키값 (보통 인증을 온라인으로 한다)

- Microsoft사이트에서 제공한다 (나중에 정품인증 따로 해야한다.)

 

 

 

 

 

<VMM 서비스 포털>

-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있도록 웹환경

- 웹환경을 위해 웹서버 설치해야 한다 (IIS웹서버)

 

 

<웹서비스 IIS 설치>

*서버관리자 - 역할 추가

 

- 역할서비스에 ASP.NET, IIS 6호환성 설치

 

<셀프서비스 포털 설치>

- 기존의 VMM Agent port번호가 80, 443번을 쓰기 때문에 8080으로 설정

- 접속을 위해서 계정의 권한과 사용하는 호스트의 방화벽 해제를 설정해야 한다.

<VMM 서비스 포털 계정 생성>

사용자 추가 - user1, user2
그룹 추가 - SSP 사용자

 

 

<VMM 포털 사용자역할 추가>

*VMM - 관리 - 사용자 역할 - 역할추가

 

- 셀프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역할을 부여한다.

- 구성원으로 SSP그룹을 추가한다.

- 범위: 해당호스트가 있는 영역을 설정한다.

- 사용자가 가상컴퓨터를 만들 있도록 템블릿을 지정한다.

ex) 유저=10 / 할당량:1
=> 유저는 가상컴퓨터 10개까지 생성가능(그 이상은 불가)

- 이후 해당설정을 통해 사용자역할을 생성한다.

 

 

<VMM 서비스 포털의 가상컴퓨터 추가>

- 도메인주소를 통해 user1사용자로 VMM서비스 포털을 접속한다.

 

- 웹을 통해 user1사용자가 만들 가상컴퓨터를 설정하게 된다.

- 사용자의 설정을 통해 가상컴퓨터가 생성하게 된다.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ell 정규화 awk  (1) 2024.01.31
가상화 인터페이스 Storage 구성  (0) 2024.01.31
가상화 VMM 설치  (0) 2024.01.31
기본 OS 구조  (1) 2024.01.31
가상화 구축  (0)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