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정보 준비 중
3초만 투자해 보세요!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hree seconds!
본문 바로가기
IT/OS

가상화 인터페이스 Storage 구성

by 콰나 | Quanna 2024. 1. 31.

<Disk Interface>

- 디스크의 데이터를 컨트롤하는 인터페이스 (연결포트 컨트롤러 개념)

1) ATA / PATA / IDE / EIDE(Enhanced IDE) =(2000년이후)=> Serial ATA (SATA)

2) SCSI => SAS (SATA+SCSI)

 

<디스크 성능>

- 디스크 컨트롤러

- RPM (분당 회전속도):

- Cache Memory (Buffer)

 

<Parallel ATA> (AT Attacchment)

- PATA 또는 IDE(Intergrated Drive Electronics)라고 불림

- 병렬형태의 인터페이스(초기 사용했던 방식)

- 보통 5400~7200RPM

 

<SCSI>

- 워크스테이션 서버용으로 나온 디스크 인터페이스

- 오류처리 기능이 있는 디스크

- 보통 10000~15000RPM

 

<SATA (Serial ATA)>

- 직렬 인터페이스

- 현재 많이 사용하는 방식

- SATA1 / SATA2 / SATA3(보통 노트북, 데스크탑에 사용되는 )

 

<SAS> (Serial attached SCSI)

- 직렬 SCSI, 오류 제어 기능 탑재

- 서버용으로 보통 사용

- SATA SCSI 디스크에 대한 호환성 갖음 (SATA인터페이스는 SATA 이식)

 

<기타 인터페이스>

1) Firewire (IEEE 1394)

- usb 생기기 이전 쓰이던 외장인터페이스

- 기본 49.13mb/s, 최신버전은 393mb/s정도

 

2) USB

- 초기모델은 1.5mb/s이었지만 향상되면서 현재 1250mb/s 표준까지 지정중

- MS에서 밀고 있는 인터페이스

 

 

3) Thunderbolt

- 초기1250mb/s이고, 현재 버전22500mb/s 정도

- 애플이 밀고 있는 인터페이스

 

<HW RAID / SW RAID>

- HW RAID: 디스크 컨트롤러 / 레이드 컨트롤러

- SW RAID보다 HW RAID 속도가 빠르다.

 

< 인터페이스 버전별 상세표>

- http://en.wikipedia.org/wiki/Serial_ata

<Storage 구성>

1) DAS (Direct-Attached Storage)

- 직접 연결된 스토리지

2) NAS (Network-Attached Storage)

- NFS / SMB(CIFS) 프로토콜 사용

- TCP/IP 일반 네트워크망 사용

3) SAN (Storage Area Network)

- 스토리지를 위한 전용네트워크 (보통 광케이블 사용)

- FC-SAN (Fiber Channel- SAN) - 광케이블 SAN

- 아직 표준이 지정되지 않아 회사별로 구성이 다름

- 비용이 많이 => 대안 ISCIS (Internet-SCIC)

4) iSCSI

- iSCSI HBA(NIC) 필요하지만 소프트웨어로 NIC 처리할 있는 SAN

- 따라서 별도의 NIC 하드웨어 없이도 TCP/IP SAN 구성할 있다.

<iSCSI 구성요소>

initiator(초기자) - 서버에 대상이 되는 호스트의 프로그램 (2008버전 이상)

Target(대상) - 서버에서의 프로그램 (따로 설치해줘야한다.)

 

<Target서버 설정>

1) 가상디스크 추가

경로: D:\storage\disk1.vhd

가상 디스크 크기 - 102400

 

2) iSCSI대상 만들기

대상: Hyper-V 클러스터

IQN ID 추가 - 고급 - 추가 - 해당컴퓨터 ID등록

*IQN ID: iSCSI에서 시스템을 구별하기 위한 주소

<iSCSI 대상 디스크 추가>

- 해당호스트 대상 디스크 추가

 

<디스크 공유 적용>

*호스트의 iSCSI 초기자 속성 - 대상 - 서버검색 - 확인

*디스크 관리자 - 새로 생성된 공유디스크 초기화 - 새볼륨 추가

 

< 장애조치 클러스터링 추가 >

서버관리자 - 기능추가 - 장애조치 클러스터링 추가

 

<장애조치 클러스터 관리자>

*클러스터 만들기 - 서버이름입력(클러스터가 서버이름들) 추가

*유효성마법사 - 모든 테스트

*클러스터 관리 액세스 지점 - 클러스터 이름:cluster - 여분ip지정

*클러스터 공유 볼륨 - 저장소 추가

*클러스터 공유 볼륨 사용 (공유 폴더 활성화)

 

SPOF (Single Point Of Failure)

- 단일장애지점

 

<클러스터>

- 가상A Memory ---(복사)----> 가상B Memory

 

<HA> (High Availability)

- 고가용성 서버구성

요소: 스토리지 구성, 클러스터 구성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서버 구축 공유폴더 그룹정책  (1) 2024.01.31
Shell 정규화 awk  (1) 2024.01.31
가상화 VMM Library  (0) 2024.01.31
가상화 VMM 설치  (0) 2024.01.31
기본 OS 구조  (1)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