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역사>
- 1991년 리누스 토발즈가 유닉스를 보고 똑같이 따라 만든 OS로 커뮤니트에 무료로 배포
- Redhat / Ubuntu / pedora / mint / opseSESU / CentOS
<CentOS ISO파일>
- http://ftp.riken.jp/Linux/centos/5.9/isos/i386/
- x86(32비트 운영체제)
i386 intel계열 CPU
i586 intel Petium CPU
AMD
- x86_64 (64비트 운영체제)
- Sparc
=> 일일히 컴파일하는 수고로움을 덜기 휘해에 환경에 맞게 사용하기 위해 버전별로 나눔
<CentOS 설치>
서버 – dns ftp mysql pster window파일 네트워크
ftp telnet 보안
<VMtool 설치>
1) 압축파일 복사
2) 압축파일 해제tar xvzf VM 파일이름
3) ./...pl 실행
4) 기본값
5) 재시작
<telnet 설치>
yum install telnet-server
vi /etc/xinetd.d/telnet
disable를 no로 설정
service xinetd restart
<사용자관리>
1) /etc/passwd
- 리눅스: uid 500번부터 생성 (유닉스는 100번부터 시작)

2) /etc/shadow
- 사용하는 해쉬값이 유닉스와 다름
- 암호필드 : 암호종류/솔트값/암호문

3) /etc/group
- 기존과 같음

/etc/defadduser -> /etc/default/useradd
- 유저 default 설정정보

/etc/default/passwd -> /etc/login.defs
- 암호정책
/etc/default/login -> /etc/securetty
- 로그인 허용되는 콘솔정보
/etc/skel
- 홈디렉토리의 복사되는 파일디렉토리
<계정>
1) useradd
- 리눅스는 생성시 주그룹도 같이 생성 (유닉스는 기본값 또는 other의 그룹)

2)기타
usermod userdel groupadd groupmod groupdel |
- 나머지는 유닉스와 크게 달라지지 않음 (옵션값 명칭만 좀 달라졌을뿐)
<디스크 이름>
1) 장치명
- /dev
- sda1 / sda2 등으로 간소화됨

2) 파티션
format -> fdisk –l : 파티션 정보
<interface명>
- e1000g0 -> eth0 명으로 간소화됨

<네트워크 설정파일>
/etc/hosts /etc/nodename /etc/hostname.[인터페이스명] /etc./defaultrouter /etc/resolv.conf /etc/nsswitch.conf /etc/netmasks |
-> 기본의 여러 파일들을 하나의 파일로 관리
- 레드헷: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인터페이스명]

- 우분투: /etc/neworks/interfaces
<서비스 관리>
<유닉스> svcs svcadm |
-> 리눅스는 service 명령어 또는 /etc/init.d의 스크립트파일을 이용하여 시작/중지


<백도어>
gcc –o [생성할 실행파일이름] [소스파일이름]
gcc –o door door.c
실행권한 4755
일반사용자로 실행했을 때 바로 루드권한 획득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부팅과정 Tomcat (0) | 2024.01.31 |
---|---|
Linux 네트워크 yum 디스크 (1) | 2024.01.31 |
윈도우서버 AD (1) | 2024.01.31 |
윈도우서버 용어 역할 (0) | 2024.01.31 |
윈도우서버 서비스 IIS 이벤트뷰어 FTP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