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서비스 소프트웨어>
BIND - DNS 소프트웨어
베리타스 볼륨레이어 - RAID 소프트웨어
apache tomcat – 웹서버
<CentOS 6.3경우>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 실제 NIC의 맥주소와 장치명을 맵핑하는데 장치명이 제대로 표시 안될 경우 직접 수정해줄 필요가 있다.
<컴퓨터 부팅과정>
1) POST (power of self test) – 전원공급 및 하드웨어 체크
2) ROM에 프로그래밍된 BIOS가 실행
3) 디스크 0번 섹터에 있는 존재하는 MBR이 BIOS에 의해 읽혀진다.

4) 부트로더 실행 (GRUB, LILO)
5) 루트파일시스템 마운트
(커널( /boot/vmlinuz-X.X.X.el5)를 ‘/’파일시스템을 파운트 시킴)
(마운트 실패시 커널패닉(블루스크린) 됨)
(하드웨어 시스템 체크, /var/log/dmesg)
6) 커널이 init 프로세스(PID1)가 /etc/inittab 파일을 읽어서 기본 런 레벨 확인(기본 5번)
7) 런레벨 확인후 /etc/rc.[숫자] 스크립트들을 실행
<rc.d>
- 런레벨에 대한 crond 설정이 되어 있는 스크립트 존재
- K: 중지 / S:시작

<chkconfig>
- 서비스를 추가/삭제/확인
- service [서비스명] status: 서비스 확인
1) chkconfig --list

2) chkconfig –level [런레벨] [서비스] on/off

3) httpd서비스에 런레벨 345 설정 후 재시작 후의 서비스 확인

<JDK / Tomcat>
- Tomcat 사용하기 위해서는 JDK 필요
1) JDK설치
- JDK설치: rpm –Uvh [JDK파일]

- 환경변수 등록 : /etc/profile에 path설정

- java 인식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usr/java/jdk/1.8.0_11/jre/bin/java 0
- java를 3번으로 활성화 :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자바버전 확인: java -version

2)Tomcat 설치
- 다운받은 apache-tomcat-7.0.54.tar.gz파일 압축해제
- 해제한 디렉토리를 /usr/local/tomcat7으로 이동

- tomcat 환경변수 추가: /etc/profile에 path설정

- 쉘 작성: /etc/rc.d/init.d/tomcat7 파일 작성 (755권한)

chkconfig --add tomcat7 : 서비스 등록
chkconfig --list tomcat7 : 서비스 확인

<service>
service [서비스명] 옵션

<ntsysv>
ntsysv : 서비스 관리매니저

<서비스 데몬>
xinetd | 의존성을 가지고 잇는 데몬, 주로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접속에 관한 데몬들이 xinetd에 대해 종속성을 가지고 있다. |
standalone | 의존성이 없는 데몬 (ex) httpd, crond |
- xinetd와 연관된 데몬들의 위치: /etc/xinetd.d/[데몬이름]
(ex) /etc/xinetd.d/telnet
- 데몬의 설정파일은 disable 값이 yes로 되어 있으면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
- 사용하기 위해선 해당 값을 no로 변경해줘야 한다.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mysql jdbc mail (1) | 2024.01.31 |
---|---|
Linux NFS FTP vsftp (2) | 2024.01.31 |
Linux 네트워크 yum 디스크 (1) | 2024.01.31 |
Linux 역사 계정 서비스 (1) | 2024.01.31 |
윈도우서버 AD (1)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