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설정>
1) /etc/sysconfig/network
-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활성화

2)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ip 및 네트워크설정

DEVICE : eth0 BOOTPROTO : static, dhcp IPADDR : ip주소 NETMASK : 넷마스크 GATEWAY : 기본 게이트웨이 ONBOOT : yes |
3) /etc/resolv.conf (DNS설정)

4) service network restart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yum>
- yellowdog update modified
- 콘솔기반의 업데이트 프로그램
- 의존성을 알아서 해결
- CentOS는 Redhat계열에서 사용
- 레포지터리를 사용하여 다운: 다음 / redhat / centos
- 레포지터리 경로 : /etc/yum.repos.d/CentOS-Base.repo
list : 패키지에 대한 설치/미설치 목록 출력
–y : 질문응답 yes
install: 패키지 설치
remove : 삭제
info : 패키지 정보 확인
yum –y httpd* php* libtool* --skip-broken
yum –y yum-utils
<yumdownloader 명령어>
- 소스제공 파일을 다운로드 받음
<rpm>
- Redhat Package Manager
-qa : 모든 패키지 리스트 출력
-qi [패키지명] :패키지의 정보 출력
-i : 설치
-e : 제거
-U : 업데이트
-v : 자세하게
-h : 그래픽바
-Uvh : 의존성을 알아서 해결해주지 않기 때문에 불편한다
rpm –ivh [패키지명] –force : 강제설치
rpm –ivh [패키지명] –nodeps: 의존성 무시
rpm –qa | grep telnet
http://mirror.centos.org/centos/5/updates/i386/RPMS/
- openldap-clients-2.3.43-28.el5_10.i386.rpm
<소스파일로 패키지 설치>
(ex) libnet-1.0.2.tar.gz
(ex) libdnet-1.11.tar.gz
(ex) libpcap_1.0.0.tar.gz
(ex) pcre-8.33.tar.gz
- README 파일 또는 INSTALL과 같은 문서파일에 설치방법을 명시
- ./configure : 패키지를 소스코드로 설치하기 위해 시스템에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
- make : 컴파일하는 과정
- make install : 실제 설치를 하는 과정
<디스크 관리>
fdisk

echo scsi "add-single-device 0 0 1 0" > /proc/scsi/scsi

장치 및 볼륨 구성 정보 확인
fdisk –l
장치 및 볼륨 구성
fdisk /dev/sdb

n: 파티션 생성
MBR – 부트 / 파티션 테이블 / magic number
<파티션>
MBR(512바이트) 내에 있는 파티션 테이블에 정보가 들어있다.
파티션 테이블은 64바이트, 하나의 파티션 정보는 16바이트
따라서 총 4개의 파티션만 생성가능.
주 파티션만으로는 4개이상의 파티션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확장파티션이라는 개념 도입

mkfs –t ext3 /dev/sdb1
ext2
ext3
ext4
mount [장치명] [마운트 포인트]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NFS FTP vsftp (2) | 2024.01.31 |
---|---|
Linux 부팅과정 Tomcat (0) | 2024.01.31 |
Linux 역사 계정 서비스 (1) | 2024.01.31 |
윈도우서버 AD (1) | 2024.01.31 |
윈도우서버 용어 역할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