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정보 준비 중
3초만 투자해 보세요!
Preparing valuable information
Just invest three seconds!
본문 바로가기
IT/OS

Linux NFS FTP vsftp

by 콰나 | Quanna 2024. 1. 31.

<NFS>

-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으로 공유폴더 같은 기능

rpm qa | grep nfs: nfs패키지 확인

 

/etc/exports : 공유내용 설정

- [공유디렉토리] [허용대역폭 or IP/subnetmask] [rw]

(ex) /home/server 192.168.123.0/255.255.255.0 (rw)

 

<실습>

nfs 서버 / nfs 클라이언트 - 서버의 디렉토리를 클라이언트에게 공유(마운트)시킴

 

1)서버

서버공유디렉토리 생성: /home/server

/etx/exports : /home/server 192.168.123.0/255.255.255.0(rw) 내용작성

service nfs restart: 서비스 재실행

exportfs v: nfs 설정확인 (-r : 설정 갱신, -u: 목록 중 삭제)

service iptables stop (방화벽 해제)

 

2)클라이언트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 /home/client

서버 nfs디렉토리에 마운트:

mount t nfs 192.168.123.10:/home/server /home/client

 

<NFS 구성>

1. 서버에서 /etc/exports 공유설정

2. 서버에서 service nfs restart 서비스 재시작

3. 서버에서 exportfs 공유 설정 확인 (-u:제외할 공유 목록 설정, -v:자세리, -r:재갱신)

4. 서버에서 rpcinfo p 명령어로 nfs 공유된 포트번호 확인

5. 서버에서 방화벽 설정

6. 서버에서 디렉토리 생성

7.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NFS 설정시 옵션>

rw 읽기 / 쓰기 가능
ro 읽기 가능
secure 클라이언트가 마운트 요청시 포트번호가 1024이하만 허용
root_squash 클라이언트 root 마운트할 서버의 root권한을 획득 못함
no_root_squash 클라이언트 root 마운트할 서버의 root권한을 획득
sync: 실시간으로 동기화

 

 (ex) /home/server 192.168.123.0/255.255.255.0 (rw,syn,no_root_squash)

<서버에서의 자동 nfs 활성화 설정방법>

1) chkconfig –level 345 nfs on

2) ntsysv에서 서비스 활성화

3) /etc/rc.d/rc.local: 초기화 스크립트 실행되는 스크립트

- service nfs restart (명령어 추가)

 

클라이언트 경우 - /etc/fstab 마운트정보 설정으로 자동마운트시킴

 

*rpcinfo p : 포트맵 정보 확인

 

 

<FTP 서버 구성>

 

1)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유닉스 계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FTP서버용 패키지

 

2) vsftpd (Very Secure FTP Daemon)

-리눅스에서는 proftpd 많이 사용된다고도 하지만 vsftpd 보안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vsftpd 해보도록 한다.

- 보안에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트래픽 대역폭 제한 기능, 가상IP, 가상의 사용자, PAM, Standalone 방식과 xinetd방식 모두 지원, 로그 기록시 자체 포맷 형식 지원

 

3) PAM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 원하는 보안방식을 플러그인/아웃 있는 모듈방식

 

rpm qa | grep vsftpd : vsftpd 패키지 설치확인

파일다운: wget http://security.appspot.co9m/downloads/vsftpd-3.0.2.tar.gz )

 

<vsftpd 패키지 설치 확인 파일>

ls l /usr/local/sbin/vsftpd
ls l /etc/xinetd.d/vsftpd
ls l /etc/vsftpd/vsftpd.conf

<vsftpd 설정파일>

/etc/vsftpd vsftpd 메인 디렉토리
/etc/vsftpd/vsftpd.conf 메인 설정 파일
/etc/vsftpd/user_list 접속 제한할 사용자
/etc/vsftpd/ftpusers PAM에서 사용하는 접속 제한자 리스트
/etc/rc.d/init.d/vsftpd 시작 또는 중지 스크립트 파일
/etc/xientd.d/vsftpd xinetd 방식을 사용할 때의 설정하는 파일
/usr/local/sbin/vsftpd 실행 데몬 파일
/etc/pam.d/vsftpd PAM 설정 파일
/var/log/vsftpd.log 로그 파일

 

1) /etc/vsftpd/vsftpd.conf

(1)기본설정옵션

list xinet 서비스로 시작할지 아니면 standalone 방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할지 결정
xinet : no -> /etc/xinet.d/vstfpd (disable = no)
standalone: yes -> /etc/xinet.d/vstfpd (disable = yes)
 
max_per_ip ip에서 접속가능한 사용자 제한

 

(2)접속설정옵션

user_config_dir 접속 사용자별로 설정파일을 다르게 설정

 

(3)대기시간 설정옵션 – 세션의 timeout

(4)메세지설정 옵션

banner_file 접속시 띄워줄 배너문구 파일지정

(5)모드설정 옵션

Active 포트 20/21 사용(사용자의 방화벽을 열어야하므로 보안취약)
Passive 포트 20/21 외의 하나의 포트 사용(서버측의 방화벽 관리필요)

 

-Active방식의 경우 사용자측에서 방화벽 등을 열어서 통신을 해야 하는 보안상 취약점이 있지만, passive방식 경우는 서버측의 방화벽 정책을 설정하여 사용하여 사용자입장에서는 보다 안전한 통신을 수 있다.

(서버측 경우는 보안상 취약하지만 문제를 해결할 보안솔루션을 보통 사용한다.)

 

 

(6)권한 설정 옵션

local_umask: 공유디렉토리의 기본umask
file_open_mode : 접근권한

 

(7)보안 설정 옵션 – PAM 모듈의 사용여부

(8)로그 설정 옵션 – 로그파일 설정

 

<Xinetd방식 설정>

- etc/vsftpd/vsftpd.conf listen=no하여 xinet방식으로 활성화

- /etc/xinetd.d/vsftpd: disable=no 설정

 

<서비스 제대로 작동 될시>

vsftpd-3.0.2 vsftpd.conf => /etc/vsftpdconf로 이동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outlook  (0) 2024.02.01
LINUX mysql jdbc mail  (1) 2024.01.31
Linux 부팅과정 Tomcat  (0) 2024.01.31
Linux 네트워크 yum 디스크  (1) 2024.01.31
Linux 역사 계정 서비스  (1) 2024.01.31